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골다공증과 FRAX

by lennys 2021. 11. 24.
728x90
반응형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은 사전적으로는 골조직에 구멍이 많이 난 상태를 의미하지만 정확히는

세계보건기구 정의에 따르면 골량이 감소하고 골조직의 미세구조가 손상되면서 골의 강도가 약화되어 취약 골절(fragility fracture)의 위험이 증가되는 상태를 말한다. IOF(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에서는 골다공증을 골조직이 얇아져 골밀도가 낮아지고 골질이 저하되면서 강도를 소실한 상태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의하고 있다. 골다공증은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이면서 노년에서 관절염 다음으로 흔한 증상을 유발하는 근골격계 질환이다.
골다공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중요한 것은 노화이다. 일반적으로 30세가 되면 골량이 최고치를 이루었다가 이후 골조직이 무기질을 유지하는 골생성 및 골흡수 과정이 느려지고, 50세를 경과하면 골흡수가 증가하면서 골조직이 매우 약해진다. 다른 중요 요인은 여성에서 폐경이며, 여성 호르몬의 부족으로 골조직의 무기질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기타 체중부하 운동 부족, 부적절한 영양섭취, 가족력, 흡연, 왜소한 체형, 골량에 영향을 주는 약물이나 질환 등이 골다공증을 유발한다. 
골다공증은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으며 제 1형 골다공증은 폐경 후 골다공증과 노인성 골다공증과 같이 연령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며, 제 2형 골다공증은 질환이나 약물 등 특정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WHO에서는 골밀도 T score가 -2.5 이하인 경우 골다공증으로, -2.5이하이면서 골다공증골절이 있는 경우 심한 골다공증으로 분류하고 있다. 

 

<FRAX>

 

골절 위험도 예측 프로그램 Fracture risk assessment FRAX

골밀도는 골절 발생을 예측함에 예민도는 높지만 특이도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BMD T score가 -2.5로 동일하더라도 50세 여성과 70세 여성에서 향후 10년 이내 골절 발생 확률을 비교해 보면 70세 여성에서 훨씬 더 높은 것처럼 T score는 연령에 따를 골절 위험의 증가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

WHO 진단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치료가 필요한 많은 환자를 놓칠 수 있어 이를 보완하려는 목적에서 WHO는 대규모 역학 연구를 통해 대표적인 골다공증 골절 위험인자를 선정하고, 각 위험 인자간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10년 내 골절 위험도(10 year fracture probability)를 계산하는 FRAX를 개발하여 2008년 초에 공개하였다.

12개의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는 총 10000명으로 1000건의 고관절골절을 포함한 5400건의 골절 자료를 기준으로 골절의 절대위험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온라인(www.sheffield.ac.ul/FRAX)과 앱(itues.apple.com/us/app/frax/id37014612-mt-8)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골절 위험이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현재까지 골절과 사망 유병률 자료가 있는 한국을 포함한 64개국에서 FRAX모델이 개발된 상태이며 31개국 언어로 이용 가능하다.

 

FRAX는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에서 치료 대상을 선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약물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FRAX는 10년 내 골절 위험도를 산출하는 도구일 뿐 골다공증의 치료 기준의 설정은 각 국가의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과 평균수명, 의료경제수준에 따라 달리 설정이 필요하다. 미국 NOF 치료지침에서는 50세 이상 남성과 폐경 여성에서 치료를 받은 적이 없고 골감소증(-2.5<T score <-1.0)인 경우 10년 내 고관절 위험도가 3퍼센트 이상이거나 주요 골다공증 골절 위험도가 20퍼센트 이상인 경우를 치료기준으로 설정하였따. 이와 달리 일본에서는 10년내 주요 골다공증골절 위험도가 15퍼센트 이상일 때 치료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국내에서는 아직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