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신 중 갑상선 호르몬 변화와 치료

by lennys 2021. 11. 1.
728x90
반응형

<갑상선 호르몬>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 내는데 갑상선 호르몬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티록신(T4)와 삼요오드타이로닌(T3)이고, 이 두가지 호르몬의 차이는 호르몬이 만들어지는 요오드화 당 단백질의 일종인 요오드타이로신에 있는 요오드 원자수에 따라 T4, T3가 만들어집니다. 요오드가 4개인 경우는 T4, 3개인 경우는 T3가 됩니다. 

핵내 호르몬 수용체를 통해 갑상선 호르몬은 발달과정 동안 세포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인에게는 체온과 대사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갑상선 호르몬과 혈청 결합 단백>

갑상선호르몬의 운반과 대사에 있어 혈청 결합 단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4는 갑상선에서 T3보다 20배 이상 분비되는데, 두 호르몬 모두 혈액 내에서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thyroxine binding globulin, TBG), 트란스타이레틴(transthyretin, TTR),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에 결합된 형태로 순환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혈장 단백의 기능은 혈액내 호르몬의 양을 증가시키고, 호르몬 청소율을 감소시키며, 특정 조직으로 호르몬의 운반을 조정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양한 결합 단백의 영향으로 인해 대략 T4는 99.98%, T3는 99.7%가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두가지 중에서 T3는 T4에 비해 덜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혈중 총 T3의 양은 적지만 유리 T3의 양은 유리 T4에 비해 많습니다.

(유리T4 2*10-11M, T3 약 6*10-12M)

 

<갑상선 호르몬을 변화시키는 경우>

갑상선 호르몬 결합 단백의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선천성, 후천적으로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 연관성 TBG 결핍에서 총 T4, T3가 낮아집니다.

에스트로겐은 TBG의 사이알릴화(sialylation)을 증가시키고 TBG의 청소율을 지연시켜 TBG의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임신중이거나 에스트로겐이 포함된 피임약을 복용하고 있는 여성의 경우 TBG 농도가 증가되어 총 T4와 T3 농도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때 유리 T4, T3농도는 정상입니다.

 

에스트로겐에 의해 TBG가 증가되는 경우(임신, 경구 피임약, 호르몬 대체 요법, 타목시펜) 총 갑상선 농도는 증가되고, TBG 결합이 감소되는 경우(안드로겐, 신증후군)에는 총 갑상선 농도가 감소됩니다. 

또한 유전질환과 급성 병증도 갑상선 호르몬 결합단백 이상을 초래할 수 있고,

다양한 약물(페니토인, 카바마제핀, 살리실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이 갑상선 호르몬의 결합을 저해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리 갑상선 농도는 정상이고 환자들은 정상 갑상선 기능을 보이므로 총 호르몬 보다는 유리호르몬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과 갑상선 질환>

임신 중 갑상선 호르몬 조절이 중요한 이유는 산모의 체내 갑상선 호르몬이 태반을 통해 뱃속 아기에게 전달되어 태아의 갑상선에서 만들어낸 태아 갑상선 호르몬과 더불어 태아 뇌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임신과 갑상선 기능저하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가진 여성이 임신을 하면 갑상선 호르몬의 보충을 해주어야 합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임신중독증, 태반조기박리, 심장 기능이상, 저체중아 뿐 아니라 갑상선 호르몬이 태아 뇌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IQ가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아는 임신 12주후 갑상선 호르몬을 합성하고, 이전에는 태반을 통해 산모의 갑상선 호르몬이 존재합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와 같이 임신후에도 레보타이록신이라는 갑상선호르몬을 매일 경구 복용하게 됩니다.

복용하면서 혈액검사를 통해  갑상선 자극호르몬 농도를 측정하여 정상 범위로 유지되도록 약물 용량을 조절합니다.

 

임신과 갑상선 기능항진증

임신 중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치료하지 않은 경우 유산, 임신 유발성 고혈압, 조산, 울혈성 심부전, 갑상선 중독증, 태반 조기 박리 등이 일어날 수 있고, 태아에게 저체중, 발육지연, 갑상선종,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항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임신 중 항갑상선제로 치료하여 가능하면 적은 양의 약을 복용하며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정상 상위 1/3에 해당하는 수치로 유지되도록 치료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