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해질이상_고나트륨혈증

by lennys 2021. 11. 26.
728x90
반응형
고나트륨 혈증
Na > 145 mmol/L

 

고나트륨혈증은 혈청 나트륨이 145 mmol/L 초과로 정의한다.

증상은 저나트륨 혈증과 유사하게 정신혼동(confusion),  전신 쇠약감, 신경학적 이상, 혼미, 발작, 혼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있는 고나트륨 혈증은 저나트륨혈증과 마찬가지로 수액 치료가 시급하며,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24시간 이내 6mmol/L 이상 감소시킬 것을 권고한다. 24시간 이내 12mmol/L 이상 감소할 경우 과교정으로 판단하지만, 저나트륨혈증과 달리 나트륨 수치를 다시 높이는 치료는 권고하지 않는다. 

 

교정 수액은 세가지 수액량을 함께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복잡하지만, 이를 모두 고려하지 않으면 나트륨 교정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 발생한 수분 결핍량 보충

- 총 수분량을 체중 * (남성 0.6,  여성 0.5)으로 추정한다.

   - 10 mmol/L 교정목표로 한 하루 투여량 = [10/(현재 Na-10)]*총 수분량

- 5% dextrose 1.35ml/kg/hr (하루 나트륨 10mmol/L 감소를 위한 일반적 주입량 추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분 소실량 보충

- 가장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다.  특히 다뇨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해질 유리 수분 제거율(electrolyte freee water clearance, EFWC)을 함께 계산하여 보충해주어야 한다.

-EFWC = 하루 요배설량 * [1-(요나트륨 + 요 칼륨)/(혈청나트륨)]

 

*불감손실

- 10ml/kg/day의 수액을 기본으로 하고, 37도 이상에서 1도 상승시 200ml 를 추가로 주입한다.

 

*환자의 체액량에 따라 체액량 과다의 경우 이뇨제를 추가할 수 있고, 체액량이 부족한 경우 등장성 식염수를 추가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