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

요 검사 항목들 요 검사는 신장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 가장 첫번째로 시행하는 검사로, 검체를 얻기가 쉽고, 저비용으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효율적인 검사입니다. 요 검사는 일반 요 검사와 각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요 화학 검사가 있는데 일반 요검사에서 보는 항목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검사 항목은 색, pH, 비중, 잠혈, 포도당, 단백질, 빌리루빈, 백혈구 esterase와 nitrate, dipstick 검사에서 잠혈반응이나 백혈구 등이 양성인 경우 현미경 검사로 적혈구 및 백혈구를 확인하고, 원주(cast)를 관찰합니다. 적혈구가 보이면 적혈구의 형태도 관찰하여야 합니다. 요 검사 방법은 채취 후 30-60분 이내로 검사를 하는 것이 좋고, 중간요가 좋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월경을 피하여 검사하여 적혈구 오.. 2021. 11. 4.
고혈압이 있으면 신장이 망가지나요? 신장질환이 있으면 고혈압이 생기나요? 고혈압과 신장 질환은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고혈압이 있으면 신장이 망가지는가? 신장 질환이 있으면 고혈압이 생기는 것인가?에 대한 것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는 신장은 수분 나트륨의 대사에 관여하고, 나트륨과 혈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신장 자체 즉, 사구체염이나 신장 질환이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또 원발성 고혈압의 발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고혈압 발생과 신장의 역할 한쪽 신동맥을 결찰할 경우 고혈압이 발생하고, 이것은 신장에서 레닌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Goldblatt)가 있는데요, 또 다른 연구에서도 혈압과 염분 배설관계의 장애가 생겨 고혈압이 생기는 원인으.. 2021. 11. 3.
당뇨병이 있는데 심한 운동을 해도 되나요? © Pexels, 출처 Pixabay 당뇨병에 식이조절과 운동이 중요하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 운동은 어떻게 당뇨에 영향을 주고, 또 어떤 운동을 얼마나 하는 것이 좋을까요? 1. 나이, 신체능력, 동반질환 등에 따라 운동의 종류, 빈도, 시간, 강도를 개별화한다. 2. 가능하면 운동전문가에게 운동처방을 의뢰한다. 3. 유산소운동은 일주일에 150분 이상, 중강도로, 일주일에 적어도 3일 이상 하며, 연속해서 2일 이상 쉬지 않는다. 4. 저항운동은 금기가 없는 한 일주일에 2회 이상 한다. 5.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은 함께 하는 것이 좋다. 규칙적인 운동은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시키며 체중감소에 기여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당뇨병의 고위험군에서는 당뇨병 예방효과도 있는 .. 2021. 11. 2.
법정 감염병 분류 법정 감염병 분류 기준 제 1급 감염병 : 생물 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야야 하고, 음압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제2급 감염병: 전파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제3급 감염병: 그 발생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어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 감염병 제4급 감염병: 제 1급감염병부터 제 3급 감염병까지 감염병 외에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본감시 활동이 필요한 감염병 제 1급 감염병(17종) ■ 특성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고 음압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 질환 에볼라바이러.. 2021. 11. 2.